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

대깨문이란 뜻 어대문 뜻 한번에 정리 합니다.

by 모든정보 MOA 2020. 8. 10.

대깨문이란 뜻 한번에 정리 합니다.

오늘은 대깨문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요즘은 여러 방면에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조어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신조어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이 단어들을 들어도 무슨 뜻인지 이해하지 못해 오남용 하게 되는 일들이 많이 있습니다.이럴 때는 바로 사용하기보다는 정확한 뜻과 예시들을 알아본 다음에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깨문이란..

 

대깨문은 말 그대로 풀어쓰면 대가리 깨져도 문재인을 지지한다는 뜻으로 19대 대통령 선거 시점에 등장한 단어입니다.문재인 대통령을 지지하는 분들이 사용해온 단어로 강렬한 표현을 통해 지지를 표시하고자 하는 뜻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는데요.각종 행사나 시위 현장 혹은 온라인 등에서 이용하는 것을 주로 보실 수 있을 겁니다.

 

 

과격한 단어

 

이는 정치적이고 과격한 단어인 만큼 많은 분에게 사용되고 알려지게 되면서 그 의미를 달리해 사용하는 분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주로 좌파를 공격하면서 비아냥거릴 때 이 단어를 나쁜 듯으로 변질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단어를 사용하실 때 주의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뜻을 오해받게 되거나 다른 의미를 전단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온 국민이 화합해야 하는 때에 한낱 개인이라 해도 단어를 잘못 사용하게 되면 분란을 일으키게 될 수도 있는 만큼 주의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다른 대체 단어들도 많이 있으니 과격한 단어보다는 다른 표현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듯합니다. 

 

 

어대문 뜻

 

이 단어와 비슷하게 세 글자로 선거마케팅을 펼친 사례들이 많이 있는데요.문재인 대통령의 경우 '어대문'이라고 어차피 대통령은 문재인이라는 의미의 신조어가 대깨문과 함께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강철수 독철수 홍찍자

 

강한 안철수를 뜻하는 '강철수'나 독 오른 안철수를 뜻하는 '독철수'라는 단어도 만들어졌습니다.보수 진영에 홍준표를 찍으면 자유대한민국을 지킨다는 뜻의 '홍찍자'라는 축약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세 글자 마케팅은 밴드왜건 또는 언더독을 노린 전략적인 표현인 경우가 많은데요.밴드왜건이란 다른 많은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그대로 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거에 사용하게 되면 유력후보를 지지하는 집단을 따라서 똑같이 그 후보에게 투표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대깨문같은 단어가 많은 사람에게 사용되는 것을 본다면 많은 사람이 지지하는 사람을 따르겠다는 생각에 그 후보를 지지하게 되는 편승 효과를 말합니다. 

언더독

언더독은 약자 혹은 질 것으로 예상되는 주체의 승리를 바라는 효과입니다.선거에서는 지지율이 낮은 후보에게 표를 주는 현상을 말하는데요.1948년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에서 뒤지고 있는 해리 트루몬이 대선 투표에서는 역전해 당선된 이후 선거에서 언더독효과라는 말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대중들은 약자에게 관대해지거나 동정심을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요.이런 사람들이 결집해 지지율이 낮은 후보에게 표를 주게 되면 반전을 노릴 수 있게 됩니다. 세 글자 마케팅은 이러한 대중들의 심리를 자극할만한 단어를 사용해 유행시키는 것으로 언도독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정치 신조어

정치와 관련된 신조어들은 원래의 목적과는 상관없이 선거에서 유리하거나 혹은 불리한 방향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치처럼 여야로 나위어 진영 싸움이 심한 경우에는 좋은 의미로 만들어진 신조어도 변질되어 상대를 조롱하는 뜻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데요. 

 

따라서 새로운 신조어나 정치적인 단어들을 사용할 때는 항상 주의하고 올바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특히 온라인에서는 상대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몇 마디 문장만으로 그 사람의 전부를 쉽게 판단해버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말 한마디를 할 때도 신중을 기하여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대깨문 뜻처럼 새롭게 만들어지는 신조어들은 강렬하고 대중들의 흥미를 유도하기에도 좋아 선거철이 되면 마케팅용으로 혹은 비방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요.이러한 단어에 휘둘리지 말고 주체적인 판단을 가지고 투표에서 올바른 한 표를 행사하는 것이 국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댓글